본문 바로가기
[각종정보]/[국문과]

[국문과] 반어법 정의와 예시, 역설법과 비교

by 맛케터 2023. 5. 23.

 

국어국문학과 졸업생의 등록금 아끼기 프로젝트 3탄
<반어법> 정의, 역설법과 비교, 예시 알아보기

 

1. 반어법 이란?

- 문장이 전달하고자 하는 의미와 반대로 표현하는 방식

- 비아냥과 비슷한 의미

 

2. 반어법 사용 이유

- 표현하고자 하는 문장의 효과를 높이기 위함

 

3. 반어법과 역설법

- 반어법과 역설법의 큰 차이는 '문장 자체를 보았을 때 모순 여부'가 있느냐 없느냐이다. 모순된 문장이면 역설법이다. 정리하자면 아래와 같다.

- 반어법은 화자(말하는 사람)의 의미와 반대로 표현하는 방식이다. 이에따라, 문장 자체의 논리는 이상 없음.

- 역설법은 표면적으로는 모순되지만, 내면 속에 진실을 드러내는 수사법이다.

 

 

4. 반어법과 역설법 예시(문학 작품)

- 반어법 예시①

김소월, 진달래꽃

나 보기가 역겨워

가실 때에는

죽어도 아니 눈물 흘리오리다.

 

- 반어법 예시②

황동규, 즐거운 편지

오랫동안 전해 오던 그 사소함으로 그대를 불러 보리라

 

- 반어법 예시③

김소월, 먼 후일

먼 훗날 당신이 찾으시면

그 때에 내 말이 잊었노라

 

- 역설법 예시①

나희덕, 뿌리에게

척추를 휘어 잡고 더 넓게 뻗으면

그때마다 나는 착한 그릇이 되어 너를 감싸고,

불꽃 같은 바람이 가슴을 두드려 세워도

네 뻗어 가는 끝을 하냥 축복하는 나는

어리석고도 은밀한 기쁨을 가졌어라

 

- 역설법 예시②

조지훈, 승무

두 볼에 흐르는 빛이

정작으로 고와서 서러워라

 

 

- 역설법 예시③

이육사, 절정

이러매 눈 감아 생각해 볼밖에

겨울은 강철로 된 무지갠가 보다.

 

- 역설법 예시④

유치환, 깃발

이것은 소리 없는 아우성

저 푸른 해원을 향하여 흔드는

영원한 노스탤지어의 손수건

 

- 역설법 예시⑤

정호승, 슬픔이 기쁨에게

나는 이제 너에게도 슬픔을 주겠다

사랑보다 소중한 슬픔을 주겠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