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각종정보]/[국문과]

[국문과] 도치법 예시와 찾는 법 정리

by 맛케터 2023. 5. 23.

국문학과를 전공했지만, 국어 문법은 가끔씩 봐도 헷갈린다.

 

회사 생활을 하며, 마케터로서 글쓰기는 많이 하지만 국어 문법과는 거리가 있어서 점점 전공 지식이 망각되어 간다.

 

내 등록금이 아깝지 않기 위해 오늘부터 조금씩 국어 문법을 예시와 함께 정리해야겠다. 오늘은 도치법 정의와 그 예시 정리 고고!

 

 

출처 : 프리픽

1. 도치(倒置)법 이란?

정상적인 문장 성분의 배열 순서(어순)를 바꾸어 표기하는 방법

 ㄴ(넘어질 ) : 넘어지다, 쓰러지다, 뒤집다 등의 뜻

 ㄴ(둘 ) : (무언가를) 두다의 뜻

 

2. 도치법 사용 이유

도치법은 문장을 강조하고 싶을 때 주로 사용한다.

 

일반적인 문장을 사용하면 뒷 문장에 무슨 말이 올지 예측이 가능하지만, 도치법을 활용하면 문장에 '예외성'이 생겨 상대방이 예측 불가능하게 만든다. 이를 통해 상대방이 화자(말하는 이)에게 집중하도록 만들 수 있다.

 

여담이지만, 한 때 이러한 도치법이 여성에게 호감을 주는 남자 말투로 주목받았다. 그런데 억지로 하면 역효과니 그냥 하지 말자.

 

3. 도치법 찾는 법

✔ 어순이 비정상적으로 사용되었는가?

 - 정상적인 어순(주어, 목적어, 서술어의 순서)으로 사용되었는지 여부

 - 서술어가 문장에서 먼저 나왔는지 여부(주어, 목적어 보다 먼저)

 

 

4. 도치법 예시

※ 일상어 예시

- 정상어 : 과일을 잘도 먹는다

- 도치법 : 잘도 먹는다, 과일을

 

- 정상어 : 미래로 가자!

- 도치법 : 가자! 미래로. 

 

- 정상어 : 나는 우울할 때 게임을 한다.

- 도치법 : 나는 게임을 한다. 우울할 때는.

 

 

※ 문학 속 예시

신경림, 가난한 사랑 노래

가난하다고 해서 외로움을 모르겠는가

너와 헤어져 돌아오는

눈 쌓인 골목길에 새파랗게 달빛이 쏟아지는데

 

1행이 2, 3행 뒤에 사용되어야 우리말 어순에 맞기 때문에 도치법이 사용된 예시이다. 올바른 문장은 '너와 헤어져 돌아오는 눈 쌓인 골목길에 새파랗게 달빛이 쏟아지는데 가난하다고 해서 외로움을 모르겠는가'이다.

 

 

 

박남수, 종소리

나는 떠난다. 청동의 표면에서

일제히 날아가는 진폭의 새가 되어

광막한 하나의 울음이 되어

하나의 소리가 되어,

 

  1행의 '나는 떠난다'라는 문장이 뒤에 배치되어야 올바른 어순이다. 이에 따라, 해당 시에도 도치법이 사용된 예시이다.

 

 

황동규, 달밤

누가 와서 나를 부른다면

내 보여 주리라

저 얼은 들판 위에 내리는 달빛을

얼은 들판을 걸어가는 한 그림자를

지금까지 내 생각해 온 것은 모두 무엇인가.

 

  2행은 내(주어) 보여 주리라(서술어)의 구성으로 목적어가 생략되었다. 목적어는 3,4행에 언급되어 문장을 강조하므로 이는 도치법 예시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