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각종정보]/[국문과]

[국문과] 돈호법 예시와 영탄법과의 차이 정리

by 맛케터 2023. 5. 23.

 

국문학과 졸업 등록금을 아끼기 위한 국어 문법 정리 2탄, 돈호법 정의, 돈호법vs영탄법, 돈호법 예시 알아보기 고고!

 

출처 : 프리픽

1. 돈호법 이란?

- 사람이나 사물의 이름을 불러 표현법으로 '초호법'으로도 불림.

- 듣는 사람에게 단순히 말을 하는 것은 돈호법은 아님

- 영탄법과 혼동되는 경우가 있음

 

2. 돈호법 사용 이유

- 사람이나 사물의 이름을 불러 주의를 환기시키기 위함

- 말하는 중 문맥을 끊고 대상을 불러 청자의 주의를 강하게 환기시킬 수 있음

 

 

3. 돈호법과 영탄법의 차이

- 중, 고등 과정에서 돈호법과 영탄법의 차이를 묻는 문제는 거의 없음.

- 돈호법은 '어떤 대상을 불러 분위기를 환기'하는 수사법

- 영탄법은 '감탄사, 호격 조사 등을 사용하여 벅찬 감정을 강하게 표현'하는 수사법

- 돈호법은 경우에 따라 영탄법으로도 볼 수 있음.

 → 예시 : 아아 소녀여! 왜 울고있느냐!

     ㄴ 소녀여! : 대상을 불러 환기함과 동시에 벅찬 감정을 표현.

 

 

4. 돈호법 예시(문학 작품)

- 도치법 예시①

김구, 나의 소원

여러분! 나 김구의 소원은 이것 하나밖에 없다.

 

- 도치법 예시②

박두진, 해

해야 솟아라, 해야 솟아라, 말갛게 씻은 얼굴 고운 해야 솟아라.

 

- 도치법 예시③

신석정, 그 먼 나라를 알으십니까?

어머니,

당신은 그 먼 나라를 알으십니까?

 

깊은 삼림대를 끼고 돌면

고요한 호수에 흰 물새 날고,

좁은 들길에 들장미 열매 붉어

(중략)

 

 

- 도치법 예시④

김소월, 엄마야 누나야

엄마야 누나야 강변 살자

뜰에는 반짝이는 금모래 빛

뒷문 밖에는 갈잎의 노래

엄마야 누나야 강변 살자

 

- 도치법 예시⑤

신석정, 바다에게 주는 시

바다여

날이 날마다 속삭이는

너의 수다스런 이야기에 지쳐

해안선의 바위는

베토벤처럼 귀가 먹었다.

 

댓글